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1

로마 제국의 분열과 동서 제국의 탄생 고대 로마 제국은 한때 지중해 전역을 아우르는 통일 제국이었지만, 4세기 후반에 이르러 행정적·문화적 균열이 심화되며 결국 동로마와 서로마로 나뉘게 됩니다. 본 글에서는 로마 제국 분열의 원인, 과정, 그리고 역사적 함의를 분석합니다. 1. 분열의 역사적 배경로마 제국은 3세기부터 심각한 내부 위기를 겪습니다. 정치적 혼란, 경제 불안, 게르만족 침입 등으로 제국 전체의 통치가 어려워지면서, 점차 행정적 이중화가 이루어집니다.디오클레티아누스(Diocletianus)는 293년 ‘사두정치(Tetrarchia)’를 도입하며 2명의 정황제와 2명의 부황제를 배치했고, 이는 제국 분할의 전조가 됩니다.2. 테오도시우스 1세와 최종 분할테오도시우스 1세(Theodosius I)는 마지막 통일 로마 황제로, 기독.. 2025. 6. 15.
기독교의 확산과 로마 제국의 변화 콘스탄티누스 고대 로마 제국은 다신교 기반의 종교 관용 국가였습니다. 그러나 기독교의 급속한 확산과 함께, 제국의 종교 정책은 근본적 전환점을 맞이합니다. 이 중심에는 바로 콘스탄티누스 대제(Constantinus Magnus)가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그를 중심으로 로마 제국의 종교적 전환과 정치적 재편을 분석합니다. 1. 기독교 박해에서 합법화로기독교는 1세기 말부터 로마 제국 내에서 확산되기 시작했지만, 초기에는 불온한 신앙으로 간주되어 반복적으로 박해받았습니다. 특히 네로, 디오클레티아누스 시기에는 대규모 탄압이 있었죠.하지만 기독교는 도시 하층민과 여성을 중심으로 지속적으로 확산되었고, 교리의 보편성과 박해 속 순교자의 이미지는 오히려 결속을 강화했습니다.2. 콘스탄티누스 대제의 등장콘스탄티누스는 306년.. 2025. 6. 15.
네로 황제와 로마 이야기 제정의 그림자 네로(Nero)는 고대 로마사에서 가장 악명 높은 황제 중 한 명입니다. 그의 이름은 폭정, 타락, 미치광이의 대명사처럼 쓰이지만, 역사학적 접근은 단순한 도덕 판단을 넘어서야 합니다. 본 글에서는 네로 황제의 통치를 중심으로, 로마 제정 체제의 구조적 위험성과 권력 집중의 폐해를 분석합니다. 1. 네로의 즉위와 초기 통치네로는 기원후 54년, 클라우디우스 황제의 양자로 즉위합니다. 초창기에는 철학자 세네카(Seneca)와 군인 부루스(Burrus)의 보좌를 받으며 비교적 안정적인 통치를 유지했습니다.그러나 권력의 단맛을 알게 되면서, 네로는 점차 정적 제거, 사치 추구, 자신 숭배 강화로 방향을 틉니다. 어머니 아그리피나를 살해하고, 정적을 숙청하며, 점차 제정 권력의 독점을 가속화했습니다.2. 로마.. 2025. 6. 15.
로마 공화정과 제정의 전환 키케로와 아우구스투스 로마 공화정의 몰락과 제정의 성립은 고대사의 전환점 중 하나입니다. 이 과정에서 우리는 단순한 체제 변화 이상의 복잡한 정치적·사상적 갈등을 마주하게 됩니다. 본 글에서는 이 전환기의 중심 인물인 키케로(Cicero)와 아우구스투스(Augustus)를 통해, 체제 변화의 본질과 역사적 의미를 분석합니다. 1. 로마 공화정의 기본 구조기원전 509년 왕정을 폐지한 후, 로마는 원로원(Senatus)과 집정관(Consul)이 중심이 되는 공화정 체제를 유지했습니다. 권력 분산과 임기 제한은 독재 방지를 위한 장치였지만, 시간이 흐르며 귀족 중심의 과두 정치로 변질되었습니다.이후 마리우스 vs 술라, 카이사르의 등장 등을 거치며, 정치적 무력화와 내전이 반복되었습니다.2. 키케로: 공화정의 수호자키케로(Ma.. 2025. 6. 15.
알렉산드로스 대왕과 헬레니즘 세계의 탄생 알렉산드로스 대왕(Alexander the Great)은 고대사에서 단순한 정복자를 넘어, 문명과 문명이 만나는 거대한 전환점을 만들어낸 인물입니다. 그의 동방 원정은 단지 군사적 확장이 아니라, 그리스적 요소와 동방 문화의 융합을 가능하게 했으며, 이는 헬레니즘 세계(Hellenistic World)의 탄생으로 이어졌습니다. 1. 알렉산드로스의 정복 여정기원전 336년, 마케도니아 왕국의 왕위를 계승한 알렉산드로스는 짧은 기간 동안 그리스-이집트-페르시아-인도에 이르는 광대한 지역을 정복했습니다. 대표적 전투인 이수스 전투(BC 333), 가우가멜라 전투(BC 331)는 그가 대페르시아 제국을 무너뜨리는 결정적 전투였습니다.그러나 그의 정복은 단순한 점령이 아니라, 현지 문화를 존중하고 융합하려는 철.. 2025. 6. 15.
투키디데스와 전쟁의 본질 역사학의 분석적 전환점 고대사 연구에서 투키디데스(Thucydides)는 단순한 사건의 기록자를 넘어, 역사학을 ‘분석적 학문’으로 끌어올린 인물로 평가됩니다. 특히 그의 저작 《펠로폰네소스 전쟁사》는 정치, 인간 본성, 권력 구조에 대한 심도 깊은 통찰을 담고 있습니다. 1. 투키디데스는 누구인가?기원전 5세기 아테네 출신의 역사학자 투키디데스는 펠로폰네소스 전쟁 당시 군인으로 참전한 경험을 바탕으로, 객관적인 역사 서술을 시도했습니다. 그는 헤로도토스와 달리 신화나 전설에 의존하지 않고, 실증적이고 이성 중심의 서술을 강조했습니다.2. 《펠로폰네소스 전쟁사》의 특징원인 분석: 전쟁의 발발 원인을 '인간 본성의 탐욕과 두려움'으로 해석사실 중심: 신화나 전설을 배제하고 직접 증언과 관찰을 바탕으로 서술연설문 활용: 연설문을.. 2025. 6. 14.